본문 바로가기
정보

금실과 금슬: 어느 말이 맞을까?

by cococo 2025. 1. 5.

“금실 좋다” 또는 “금슬 좋다”라는 표현을 들었을 때, 어떤 표현이 더 올바른지 헷갈릴 때가 있습니다. 이 두 단어는 모두 부부 사이의 좋은 관계를 의미하지만, 정확한 어원과 사용법은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금실과 금슬의 차이를 알아보고 올바른 표현이 무엇인지 설명하겠습니다.

1. 금실(金實)이란?


금실은 한자어로 “금(金)“과 “실(實)“이 합쳐진 단어로, 부부 사이의 조화로운 관계를 의미합니다.

 

(1) 뜻


본래 금실은 “거문고의 줄”이라는 의미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거문고 줄이 서로 어우러져 아름다운 소리를 내듯, 부부 간의 화목한 관계를 상징합니다.

(2) 어원


거문고 줄의 조화로운 울림에서 비롯되어, 관계의 조화와 화목을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전통적으로 부부 관계를 설명할 때 사용되어 왔습니다.

(3) 올바른 사용 예


“부모님의 금실 좋은 모습이 참 보기 좋다.”
“그 부부는 금실이 좋아 다툼 없이 잘 지낸다.”


2. 금슬(金瑟)이란?


금슬은 금실과 비슷한 맥락에서 사용되지만, 다른 한자어로 구성된 표현입니다.

(1) 뜻


금슬은 “금(金)“과 “슬(瑟)“이 합쳐진 단어로, 거문고와 비파를 의미합니다. 거문고와 비파가 함께 연주될 때 조화를 이루는 것처럼, 부부의 좋은 관계를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2) 어원


고대 중국 문학에서 거문고와 비파가 함께 연주되는 장면을 통해 화합을 상징적으로 나타냈습니다. 이후 부부 간의 화목과 조화를 뜻하는 말로 사용되었습니다.



 

(3) 올바른 사용 예


“그 부부는 금슬이 좋아 늘 함께 다닌다.”
“금슬 좋던 할아버지와 할머니의 이야기가 기억난다.”


3. 금실과 금슬, 어떤 표현이 맞을까?


국립국어원의 기준에 따르면 '금실', '금슬' 모두 표준어입니다. '금실'은 '부부간의 사랑'을 뜻하는 말이고, '금슬(琴瑟)'은 '금실'의 원말입니다.




금실과 금슬은 모두 부부 사이의 조화로운 관계를 나타내는 말이지만, 현대 한국어에서는 “금실”이 표준어로 자리 잡았습니다. 하지만 금슬 역시 문학적이거나 전통적인 표현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니 맥락에 맞게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부 관계의 조화로움을 표현할 때, 이 두 단어의 어원을 기억하며 적절히 사용해 보세요.


 

아전인수: 뜻과 유래

아전인수(我田引水)는 한국어 관용어로, 자신의 이익만을 위해 행동하거나 생각하는 태도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입니다. 이 관용어는 격언이나 속담처럼 일상에서 자주 사용되며, 원래는 농업

cocotree.tistory.com

 

인해전술: 뜻과 유래

인해전술(人海戰術)은 문자 그대로 “사람의 바다로 적을 덮친다”는 뜻으로, 대규모 병력을 동원해 압도적인 숫자로 적을 상대하는 전술을 의미합니다. 이는 병력의 수적 우위를 이용해 적의

cocotree.tistory.com

 

입신양명(立身揚名)의 뜻과 유래

입신양명(立身揚名)은 전통적인 동양 사상에서 매우 중요한 가치로 여겨진 개념입니다. 이 말은 개인의 성공과 가족, 그리고 사회에 기여하는 삶의 이상을 함축하고 있습니다. 그 깊은 뜻과 유

cocotree.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