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

열대 저기압, 허리케인, 태풍, 사이클론: 차이점과 특징

by cococo 2025. 1. 6.

열대 저기압, 허리케인, 태풍, 사이클론은 모두 강력한 바람과 폭우를 동반하는 열대성 폭풍을 지칭합니다. 이 용어들은 종종 혼용되지만, 실제로는 폭풍이 발생하는 위치와 강도에 따라 구분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네 가지 용어의 차이와 각 현상의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1. 열대 저기압 (Tropical Cyclone)


열대 저기압은 열대 및 아열대 지역의 해양에서 형성되는 저기압성 폭풍입니다. 허리케인, 태풍, 사이클론 모두 열대 저기압의 일종으로, 기원과 발생 원리가 유사합니다.


 

 

주요 특징


따뜻한 해수면에서 상승 기류와 함께 형성됩니다.
중심 기압이 낮아 강한 바람과 폭우를 동반합니다.
열대 저기압은 세기에 따라 이름이 달라지는데, 최대 풍속에 따라 약한 저기압, 열대 폭풍, 그리고 강력한 열대성 폭풍으로 분류됩니다.


2. 허리케인 (Hurricane)


허리케인은 대서양, 북동태평양, 중부태평양에서 발생하는 열대 저기압 중 풍속이 시속 119km(74mph)를 초과하는 강력한 폭풍을 말합니다.

주요 특징


사피어-심슨 허리케인 등급에 따라 1~5등급으로 분류됩니다. 강력한 바람, 폭우, 폭풍 해일을 동반하며, 대규모 홍수와 심각한 인명 피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대표 사례: 허리케인 카트리나(2005), 허리케인 하비(2017)



 

 

3. 태풍 (Typhoon)


태풍은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하는 열대 저기압 중 풍속이 시속 119km(74mph)를 초과하는 폭풍을 지칭합니다.

주요 특징


아시아 지역, 특히 일본, 필리핀, 중국, 한국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북서태평양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발생 빈도가 가장 높습니다.

대표 사례: 태풍 하이옌(2013), 태풍 링링(2019)

4. 사이클론 (Cyclone)


사이클론은 남태평양, 인도양, 남서태평양에서 발생하는 열대 저기압을 가리킵니다.

주요 특징


남반구에서 발생하며, 호주, 인도, 아프리카 동부 연안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허리케인이나 태풍과 동일한 풍속 기준(119km/h 이상)으로 분류됩니다.

대표 사례: 사이클론 나르기스(2008)



 

 

5. 이들의 공통점과 차이점


공통점

모두 열대 저기압의 일종으로, 따뜻한 해수면에서 발생합니다. 중심 기압이 낮고, 강력한 바람과 폭우를 동반합니다. 지구의 자전으로 인해 코리올리 효과가 작용해 회전 운동을 보입니다.

차이점

용어는 발생 위치에 따라 달라집니다. 영향 지역이 다르며, 지역마다 피해 유형과 대처 방식도 차이가 있습니다.



열대 저기압, 허리케인, 태풍, 사이클론은 모두 강력한 열대성 폭풍을 의미하지만, 발생 지역과 풍속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립니다. 이러한 차이를 이해하면 폭풍의 특성과 영향력을 더 잘 파악할 수 있으며, 지역별 대처 방안도 효과적으로 마련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자연재해에 대한 이해와 대비가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다른글]

 

허리케인은 어떻게 형성되나? 대기의 과학적 원리 탐구

허리케인 이름은 어떻게 정해질까?

반응형

댓글